블록 암호화
- 크기가 고정된 블록을 위한 암호화 함수
- 일정한 크기의 평문을 암호화해서 만들어 냄
- 블록 암호화 방법은 되돌리는 것이 가능. 일정한 암호문을 복호화하여 원래의 평문을 얻을 수 있음
- 평문과 암호문은 항상 같은 크기를 가지는데, 이것을 블록 암호화의 블록 크기라 함
* 대칭키 암호화
-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와 복호화를 진행하는 방법
- 대표적인 알고리즘에는 AES, DES, 3DES, SEED 등이 있음
- 송신자와 수신자가 암호화에 사용된 키만 공유하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
- 대칭키가 외부에 유출되었을 경우에는 안전성을 보장받지 못하며 이러한 대칭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음
* 비대칭키 암호화
- 공개키(Public Key)와 개인키(Private Key)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와 복호화를 진행하는 방법
- 대표적인 알고리즘에는 RSA, PKCS 등이 있음
- 공개키는 외부에 공개되는 키이고, 개인키는 해당 개인만 가지고 있는 키를 의미
- 공개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는 개인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으며, 개인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는 공개키로만 복호화될 수 있음
-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보다 높은 안전성과 보안성을 제공하지만 암복호화에 소용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음
1) DES (Data Encryption Standard)
- 64비트 단위로 나뉘어 진 데이터 블록을 56비트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
- 64비트 블록과 56비트 키를 바탕으로 만든 16개의 보조키가 총 16번이 혼돈과 확산을 거쳐 완료
- 56비트라는 짧은 키 길이로 인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DES를 3회 반복하는 3DES를 사용하도록 권고
2) AES (Advanced Encryption Standard)
- DES의 안전성에 대한 여러가지 공격 방법들이 발표되면서 미국의 NIST에서는 1998년에 차세대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AES를 공모함
- 2000년 10월에 Rijindael이 AES 알고리즘으로 선정되었으며, 2001년 11월 FIPS-197로 등록
- 처음에 개발된 Rijindael 알고리즘은 암호화에 사용하는 키의 길이와 입력 평문의 길이가 128비트, 196비트, 256비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으나 FIPS-197에 등록된 AES 알고리즘은 입력 평문의 길이는 128비트로 고정시키고, 사용하는 암호화 키의 길이만 128비트, 192비트, 256비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정의
- AES는 지금까지 알려진 블록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모든 공격 방법들에 대해 안전하도록 설계되었으며,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구현시 속도나 코드 compactness 면에서 효율적이므로 스마트 카드와 같은 응용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음
3) SEED
- 정보통신 및 정보보호의 비밀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정보보호 진흥원이 주관하여 1998년 개발, 공개하여 한국 표준 암호 방식으로 선정한 128비트 블록 암호 방식
- 평문 128비트와 암호화 키 128비트가 입력되어 128비트의 암호문을 출력
4) ARIA (Academy, Research Institute, Agency)
-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주도로 학계, 국가정보원 등의 암호기술 전문가들이 공동 개발한 128, 192, 256비트 암호알고리즘
- 지난 2004년 한국 산업 규격 KS 표준으로 제정
- ARIA는 민간 암호 알고리즘 SEED와 함께 전자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용으로 보급되고 있으며, 스마트 카드 등의 초경량 환경 및 고성능 서버 환경 등에서 SEED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장점을 가지고 있음
- 국가기관 표준알고리즘(KS표준, KSX-1312)으로 모든 공공기관 및 산하기관은 ARIA로 암호화해야 함
5) RSA (Rivest Shamir Adleman)
- 서로 연관성이 있는 상이한 두 개의 키를 각각 암호화와 복호화에 이용하는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
- RSA 는 최초로 공개키 암호화의 개념을 구현
- 현재 공개키 암호화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공개키 알고리즘
- 안정성이 십 여년 이상을 통해 검증이 되었고, 그 동안 발표 되어온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에서 이해와 구현이 쉬움
댓글 없음:
댓글 쓰기